FEATUREDLatestNews멕시코뉴스한국뉴스

멕시코 관세 영향 최소화 방안 찾는 한국

한국의 멕시코 수출 주력 품목인 자동차 부품 산업 직격탄 우려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 현지시간 지난 18일 멕시코 정부의 관세 부과와 관련한 성명을 발표했다. 해당 성명에서 산업부는 한국 기업들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이날 서울에서 공공·민간 합동회의를 열고 멕시코의 이번 조치가 가져올 파장에 대해 논의한 뒤,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업계 및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겠다”고 설명했다.

멕시코는 한국의 중남미 지역 최대 교역 파트너로, 자동차와 가전 부문에서 현대·기아, 삼성·LG 등 주요 한국 대기업들이 활발히 진출해 있다.

이번 멕시코 정부의 관세 인상 계획은 자동차, 차량 부품, 철강, 알루미늄, 가전제품 등 여러 분야에서 최대 50%까지 인상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멕시코는 자국 산업을 불공정 무역행위인 ‘덤핑’으로부터 보호하겠다는 명분을 내세우며, 한국·중국·인도 등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되지 않은 국가들을 직접 겨냥했다.

한국 기업들은 특히 자동차 부품 부문에서 멕시코로의 수출 비중이 크기 때문에 타격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산업부는 멕시코가 지난 2023년과 2024년에 이미 두 차례 단행한 관세 인상에서 한국 기업들이 일부 면제 프로그램을 통해 상대적으로 보호받았던 사례를 들어, 이번에도 유사한 대응 여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의 대응은 즉각 반발을 표한 중국과는 대조적이다. 중국은 자국 이익을 지키겠다며 강경한 입장을 내놓았다. 일부 전문가들은 멕시코의 이번 조치가 값싼 중국산 제품의 유입을 차단하라는 미국의 압력에 따른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멕시코의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은 최근 이러한 의혹을 공식적으로 부인했다.

<출처 및 사진: informad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