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미국 떠나는 이들 50만 명 넘을 수도”
올해 미국을 떠나는 이들이 50만 명을 넘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민 정책 강화가 본격화되면서, 이민자 유입은 줄고 출국은 증가해 수십 년 만에 처음으로 순이민자 수가 ‘마이너스’로 전환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보수 성향 싱크탱크인 미국기업연구소(AEI)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미국의 순이민자 수는 –52만5,000명에서 +11만5,000명 사이로 추산된다. 이는 유입은 급감하고, 출국은 다소 증가했음을 반영한다는 설명이다.
이는 2024년 130만 명에 달했던 순이민자 수와 비교하면 매우 급격한 변화다. 팬데믹으로 여행이 중단되었던 2020년에도 순이민자는 33만 명 수준이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미국 노동 인구의 약 19.2%는 외국 출신이다. 또, 이들은 미국 내 소비시장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AEI와 달라스 연방준비은행 보고서는 이러한 이민자 수 감소가 노동력과 소비 감소로 이어지며 미국 GDP를 최대 1.0%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달라스 연준 보고서 공동저자인 매들린 자보드니 박사는 뉴스위크에 “이민자 유입이 줄고, 전체 외국 출신 인구가 감소하면 노동력 성장이 둔화되고, 이는 거의 모든 산업에 영향을 미친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미국의 출산율은 이미 낮고, 노동 가능한 연령대의 인구 비중도 줄어드는 추세”라며 “성장 유지를 위해 이민자 유입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우려에 대해 백악관 대변인 애비게일 잭슨은 “트럼프 대통령의 불법 범죄 이민자 추방 정책은 미국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조치”라며 “미국 납세자의 자원은 더 이상 남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대통령은 미국 노동자의 황금시대를 열고 있다”고 덧붙였다.
UC 데이비스의 노동경제학자 조반니 페리 교수는 이민자 유입 감소의 영향이 가장 클 산업으로 건설, 농업, 서비스업, 개인 돌봄 분야를 꼽았다. 그는 “미국 태생 노동자가 그 공백을 채우긴 어렵기 때문에 이들 분야의 인건비와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AEI의 스탠 뷰거 선임연구원 역시 “농업, 레저산업, 건설업 등은 노동 공급 감소에 직격탄을 맞을 것이며, 수요 측면에서는 부동산, 유통, 공공요금 부문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페리 교수는 “대기업은 임금을 올려 인력을 충원할 수 있지만, 소규모 기업은 생산성과 이익률이 낮아 생존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자보드니 박사는 특히 소상공인이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지적하며, “H-2A나 H-2B와 같은 임시노동자 비자 제도에 접근이 어려운 소규모 업체가 더 취약하고, 결국 모든 사업체가 고객 기반 감소라는 공통된 손실을 입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이민위원회에 따르면, 미국 내 외국 출신 인구의 연간 소비력은 1조7000억 달러에 달하며, 이 중 2990억 달러는 불법 체류 이민자로부터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은 2023년에만 1670억 달러의 임대료를 납부했다.
AEI는 보고서에서 “소비 감소는 기업 수익 저하로 이어지며, 이에 따라 해고와 고용 위축이 발생하고, 이는 노동력 부족 문제를 더욱 심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조정 예산안에 서명하며, 추방 집행 강화를 위해 약 1500억 달러의 예산을 확보했다. 실제로 대규모 추방작전이 이미 본격화되고 있으며, 이민 규제 강화는 캠페인 핵심 공약으로 계속 추진되고 있다.
AEI의 뷰거 연구원은 “이번 경제적 여파가 정책 재고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며 “백악관 내 이민 정책 담당자들은 경제적 혹은 인도주의적 결과에 관심이 없다”고 지적했다.
<출처 : 뉴스위크>